등(燈)의 유래
가난한 여인의 등불 [貧者一燈]
등(燈)은 부처님께 공양하는 방법의 하나입니다.
등을 공양하는 의미는 번뇌와 무지의 어두운 세계를 부처님의 지혜로 밝게 비추는 것을 상징합니다.
현우경 빈녀난타품에 등불에 얽힌 일화가 내려옵니다.
부처님이 영취산에 계실 때의 일로 밤을 밝힌 다른 등들은 다 꺼졌으나 왠일인지 난타라는 가난한 여인이 밝힌 등불 만이 끝까지 밝게 빛나고 있었습니다.
이것을 본 부처님께서 "이 여인은 등불 공양의 공덕으로 성불할 것이다" 라는 말씀하시며 물질이 많고 적음을 떠나 지극한 서원과 정성으로 밝히는 등이 소중함을 일깨워주셨습니다.
이 일화로 보아 부처님 당시부터 등공양 풍습이 있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신라 '간등(看燈)'
신라 경문왕 6년(866) 정월 15일과 진성여왕 4년(890) 정월 보름에 황룡사로 행차하여 연등(燃燈)을 보았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있습니다.
'등을 보았다'라는 의미의 간등(看燈)은 1000여 년 전에 이미 사찰에서 등을 밝혀 연등회를 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등을 보았다'라는 의미의 간등(看燈)은 1000여 년 전에 이미 사찰에서 등을 밝혀 연등회를 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 '연등회(燃燈會)'
고려시대는 불교가 국교였던 시대였습니다. 태조가 남긴 <훈요십조>에는 팔관회와 함께 연등회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남아 있고 연등도감을 설치하고 연등위장을 제정할 정도로 국가적인 행사로 치렀습니다.
음력 정월 보름과 2월 보름에 국왕과 온 백성이 풍년을 기원하며 궁궐부터 시골까지 화려한 연등을 밝히고 잔치를 열고 가무를 즐겼습니다.
왕이 행차했다가 돌아오는 가두행진의 길 양 옆에는 이틀밤에 걸쳐 3만개의 등불을 밝혀 불빛이 낮과 같이 밝았다고 합니다.